2025/04/17 4

체력 요소의 과학적 접근 ① – 근력의 정의와 운동별 발달 방법

근력, 단순히 ‘힘’만 의미할까?우리는 일상생활이나 운동 현장에서 흔히 “힘이 세다”는 표현을 자주 씁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힘’은 단순한 물리적 개념 이상의 것입니다. 체육학적 관점에서 **근력(Muscular Strength)**은 근육이 한 번의 수축으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의미합니다.즉, 근력은 단순한 체중이나 덩치로 결정되지 않고, 신경계 활성도, 근육의 단면적, 근섬유의 구성, 운동기술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납니다.근력의 과학적 정의근력은 보통 **1RM (1 Repetition Maximum)**이라는 용어로 측정됩니다. 이는 ‘한 번에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의미하는데, 이를 통해 개인의 근력을 수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쿼트..

🏋️‍♂️ 운동과 근육 ⑩ – 근육 성장을 위한 운동 vs.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 무엇이 다를까?

헬스장에서 열심히 운동하는 사람들을 보면,비슷한 운동을 해도 몸의 변화 양상이 확연히 다르다.누구는 울퉁불퉁한 근육을 만들고,누구는 더 큰 중량을 다루며 ‘힘’에 집중한다.같은 운동, 다른 결과.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이번 글에서는 ‘근비대(Hypertrophy)’와 ‘근력 향상(Strength)’ 훈련의 차이를 집중 분석해보자.🧠 1. 목적부터 다르다: 근육 '사이즈' vs. '힘'구분근비대 훈련근력 훈련목표근육 사이즈 증가더 무거운 중량을 들 수 있는 힘훈련 방식고반복 저중량저반복 고중량대표 프로그램보디빌딩파워리프팅, 웨이트 올림픽사용 중량60~75% 1RM80~95% 1RM반복 수8~15회1~5회세트 수3~5세트3~6세트 (긴 휴식 포함)🔬 2. 근육의 성장 메커니즘: 세 가지 자극 요소근육은..

🏋️‍♂️ 운동과 근육 ⑨ – 근육 손상과 재생의 메커니즘: 왜 회복이 중요한가?

운동,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과 같은 저항운동을 하게 되면,근육은 **미세 손상(micro-tears)**을 입게 된다.이 손상은 통증이나 피로로 느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미세 손상의 주 원인이완 시 부하(eccentric contraction)예: 데드리프트에서 중량을 내려놓을 때, 런지 하강 시 등새로운 자극에 대한 반응새로운 훈련 루틴, 갑작스런 강도 상승볼륨(세트/반복) 과다적응 전 과도한 운동량이러한 손상은 **단순히 부정적인 ‘파괴’**가 아니라,**회복을 전제로 한 ‘적응의 신호’**로 해석해야 한다.🧬 2. 손상 → 염증 → 재생: 근육 성장의 3단계근육이 자라는 과정은 단순히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근육 성장에는 ..

🏋️‍♂️ 운동과 근육 ⑧ – 나이에 따른 근육 성장: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의 차이점

운동을 시작하기 가장 좋은 나이는 언제일까요?근육이 가장 잘 성장하는 시기는 언제이며,40대 이후에도 근육 성장이 가능할까요?운동 생리학에서는 나이에 따른 근육 성장률과 방식에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로 나누어각 연령대에서 근육이 성장하는 방식,그리고 그에 따른 훈련 전략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기 (10대 후반 ~ 30대 초중반): 근육 성장의 황금기✅ 생리학적 특징테스토스테론,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최고치대사율이 높고, 회복력 뛰어남단백질 합성 능력 최상훈련에 대한 적응 속도 빠름🏋️‍♂️ 훈련 전략고중량 근력 운동 + 다관절 운동 위주로 구성볼륨(세트 수, 빈도)도 높게 설정 가능근력, 근지구력, 파워 훈련을 균형 있게 포함과훈련만 주의하면 거의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