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공부해보자/운동 생리학

🏋️‍♂️ 운동과 근육 ③ – 근육은 왜 찢어질까? 근손상의 원리와 회복

rich1002 2025. 4. 15. 12:00

“운동하면 근육이 찢어진다.”
이 표현, 들어본 적 있으시죠? 마치 무언가 망가지는 것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근육이 성장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 ‘찢어짐’이 단순한 통증이 아니라면?
오늘은 근육이 손상되는 정확한 원리, 그리고 그 회복이 어떻게 근육 성장으로 이어지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 운동과 근육 ③ – 근육은 왜 찢어질까? 근손상의 원리와 회복


💥 1. 근손상이란 무엇인가?

**근손상(Muscle Damage)**은 말 그대로 근육 섬유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헬스장에서의 하드 트레이닝, 새로운 동작, 무거운 중량을 들었을 때 근육 섬유들이 조금씩 찢어지고 파열됩니다.

이때 생기는 미세 손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1) 구조적 손상 (Structural Damage)

  • 근섬유 내부 구조(사코미어)가 실제로 파열됨
  • 세포막이 손상되고, 염증 반응이 시작됨

📌 2) 기능적 손상 (Functional Damage)

  • 실제 찢어짐 없이도, 수축 기능이 일시적으로 저하됨
  • 힘이 떨어지고, ‘뻐근함’을 느낌

이러한 손상은 근비대의 필수 조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과도한 손상은 오히려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어요.


🧪 2. 왜 운동할 때 근육이 손상될까?

운동 중 특히 **이완성 수축(내리막 동작)**에서 근손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스쿼트에서 앉는 동작, 벤치프레스에서 내리는 구간이 여기에 해당해요.

💡 주요 원인

  • 고중량 운동: 무거울수록 섬유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증가
  • 낯선 자극: 처음 하는 운동은 적응이 안 되어 손상이 큼
  • 반복 부족: 오랜만에 운동하면 더 쉽게 손상됨
  • 이완성 수축 위주 훈련: 의도적으로 손상을 유도하기도 함

이런 자극들은 우리 몸에 일종의 **“위기 경보”**를 울리고,
그 결과, 손상된 부위를 더 튼튼하게 만들기 위한 회복이 시작됩니다.


⚙️ 3. 근손상 → 회복 → 근성장, 그 메커니즘

손상된 근육은 그대로 놔두지 않고, 신체는 복구 과정을 시작합니다.
이게 바로 근육 성장의 핵심입니다.

📌 ① 염증 반응

  • 손상된 조직에 백혈구, 대식세포 등 면역세포가 몰림
  • 이 과정에서 통증, 부기, 피로감이 생김

📌 ② 혈혈관 재생 및 위성세포 활성화

  • 혈관이 회복되며 산소와 영양소 공급 증가
  • **위성세포(Satellite Cell)**가 활성화되어 손상 부위를 복구함

📌 ③ 단백질 재합성

  • 이전보다 더 굵고 강한 근섬유로 재건
  •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면 **근비대(Hypertrophy)**가 발생

즉, 손상 없이 성장도 없다는 말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죠!


❗ 4. 회복이 중요한 이유: 손상은 ‘과정’이지 ‘목표’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근육을 ‘찢는 것’에만 집중하고, 회복은 소홀히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손상은 오히려 **과훈련(Overtraining)**으로 이어져 면역력 저하, 부상, 근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요.

✅ 좋은 회복 = 좋은 근비대

  • 수면: 성장호르몬 분비의 핵심 시간
  • 영양: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이 회복 재료
  • 휴식: 부위별로 최소 48시간 이상 회복 시간 확보
  • 스트레칭 & 마사지: 혈류 개선 + 통증 완화

근육을 “찢는 것”은 성장의 도화선일 뿐, 불꽃은 회복이 완성합니다.


📋 5. 근손상과 회복을 고려한 훈련 전략

요소전략
운동 구성 무게 + 볼륨 조절 (중량, 세트, 반복)
주기화 3~4주 강훈련 후 1주 회복기 (Deload)
운동 루틴 분할 루틴: 부위별로 회복시간 확보
회복 전략 단백질 섭취, 수면, 가벼운 유산소 병행
통증 관리 냉찜질, 스트레칭, 가벼운 폼롤러 사용

✨ 마무리: 근육을 찢는다는 것의 진짜 의미

근육이 찢어진다는 건 망가지는 게 아니라,
강해지기 위한 준비 과정입니다.
중요한 건, 그 다음에 얼마나 잘 회복시키느냐에 따라
그 찢김이 “성장”이 될 수도 있고, “손실”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에요.

다음 글에서는 회복의 모든 것,
**“회복이 곧 성장이다 – 근육 회복의 과학”**을 주제로
더 깊이 있게 이어가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