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공부해보자/운동 생리학

🏋️‍♂️ 운동과 근육 ① – 근육의 구조와 종류: 백근과 적근, 그 차이점

rich1002 2025. 4. 14. 12:00

근육이란 무엇일까요? 운동을 통해 변화하는 우리의 몸, 그 중심에는 근육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육의 구조와 종류, 그리고 **백근(속근)과 적근(지근)**의 차이와 운동에 따른 반응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볼게요!

🏋️‍♂️ 운동과 근육 ① – 근육의 구조와 종류: 백근과 적근, 그 차이점

 


💡 1. 근육은 어떻게 생겼을까? – 근육의 기본 구조

우리 몸에는 총 세 가지 근육이 있어요.

  • 골격근: 우리가 의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 팔, 다리 등 대부분의 운동에서 사용하는 근육.
  • 심장근: 오직 심장에만 존재하며 자동으로 수축해 생명을 유지시킴.
  • 평활근: 내장 기관, 혈관 등에서 발견되며 자율신경계에 의해 작동.

운동과 관련된 건 바로 골격근입니다.

골격근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요:

  • 근섬유: 하나의 근육세포. 일반 세포보다 훨씬 크고 길어요.
  • 근원섬유: 근섬유 내부에 있는 가느다란 수축 단위.
  • 근절(Sarcomere): 실제로 근육이 수축하는 단위로, 액틴과 미오신이라는 단백질이 교차하며 움직입니다.
  • 근막(Fascia): 근육을 둘러싸는 막으로, 근육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 정교한 구조 덕분에 우리는 걷기, 달리기, 중량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요.


🔴 2. 적근과 백근의 차이점 – 운동 반응이 다르다

근섬유는 크게 **적근(Slow-twitch)**과 **백근(Fast-twitch)**으로 나뉩니다.

항목적근(Type I)백근(Type II)
색깔 붉은색 희거나 연한색
에너지 방식 유산소 대사 무산소 대사
반응 속도 느림 빠름
피로 저항 높음 낮음
주요 기능 지구력 활동 고강도, 순발력 활동

📌 적근(Slow-twitch)

  • 산소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생성.
  • 장시간 운동에 적합 (예: 마라톤, 자전거, 등산).
  • 쉽게 피로하지 않고 꾸준히 움직일 수 있음.

📌 백근(Fast-twitch)

  • 짧고 강력한 힘을 빠르게 낼 수 있음.
  • 단거리 질주, 역도, 점프 등 고강도 운동에 적합.
  • 피로가 빠르게 오지만 순간적인 폭발력이 뛰어남.

사람마다 이 두 섬유의 비율은 유전적인 요소에 따라 다르며, 일부는 훈련을 통해 기능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도 있어요.


🏃‍♀️ 3. 운동 방식에 따른 근육 섬유의 활용

운동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근섬유도 달라집니다.

✅ 지구력 운동 (유산소 중심)

  • 대표 운동: 러닝, 걷기, 수영, 자전거
  • 적근의 사용률이 높음 → 지속성 발달

✅ 고강도 무산소 운동

  • 대표 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크로스핏, HIIT, 스프린트
  • 백근의 사용률이 높음 → 근력 및 파워 향상

많은 운동은 두 섬유를 동시에 자극하지만, 주된 자극 방향은 운동 방식에 따라 달라져요.


🧠 4. 내 운동 목표에 맞는 근육 자극 전략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운동 목적에 맞는 근육 자극 방식이 중요합니다.

목표운동 방식반복 수 & 세트휴식 시간
지구력 유산소, 저강도 15~20회 이상 30초 이하
근지구력 저~중강도 웨이트 12~15회 30초
근비대 중강도 웨이트 6~12회 60~90초
순발력 & 근력 고강도 웨이트 1~6회 2~3분 이상

💡 주의할 점: 무조건 많이 운동한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 각 섬유의 특성에 맞게 반복 횟수와 강도를 조절해야 효율적인 성장이 가능해요.


📝 5. 마무리 요약

  • 우리 몸의 골격근은 다양한 층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효율적인 수축을 위해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음.
  • 근육은 **적근(지구력)**과 **백근(순발력)**으로 나뉘며, 운동 종류에 따라 다르게 활성화됨.
  • 나의 운동 목표(근육 크기? 지구력? 파워?)에 따라 적절한 섬유 자극 전략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