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공부해보자

체력 요소의 과학적 접근 ② – 근지구력 향상 훈련의 원리

rich1002 2025. 4. 18. 10:00

근지구력이란 무엇인가?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은 근육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축하면서 오랜 시간 동안 버틸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힘을 ‘얼마나 오래 유지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죠.
예를 들어, 팔굽혀펴기를 한 번 세게 하는 건 근력이지만, 50번 연속으로 하는 건 근지구력의 영역입니다.

근지구력은 일상생활에서는 물론, 스포츠 종목에서 매우 중요한 체력 요소입니다. 마라톤, 축구, 농구 같은 종목은 물론, 요가, 등산, 심지어 육아나 집안일에도 그 중요성이 드러납니다.

체력 요소의 과학적 접근 ② – 근지구력 향상 훈련의 원리


근지구력의 생리학적 기반

근지구력 향상의 원리는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에너지 시스템의 효율성 향상, 산소 공급 능력, 젖산 제거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 산화적 에너지 시스템 강화
    • 유산소 대사를 통해 ATP를 지속 생산하는 능력이 향상됨.
    • 혈관 확장, 모세혈관 밀도 증가 → 근육에 산소 전달 효율 향상
  2. 근섬유의 변화
    • **지근(적근)**의 활용도 증가
    • 산소 사용 능력이 뛰어나고, 피로에 강한 섬유가 주로 발달
  3. 젖산 역치(Lactate Threshold) 증가
    • 운동 지속 중 피로물질인 젖산을 더 늦게, 더 천천히 축적하게 함

근지구력 향상을 위한 훈련 원칙

근지구력 훈련은 고반복·저중량 형태로 구성됩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이 있습니다.

1️⃣ 반복 횟수 & 세트 구성

  • 반복: 15~25회 이상
  • 세트: 3~5세트
  • 강도: 40~60% 1RM (1회 최대 중량의 절반 정도)
  • 휴식: 세트 간 30초~1분 이하 (짧을수록 지구력 자극 증가)

2️⃣ 운동 속도

  • 너무 빠르지 않게 통제된 움직임으로 근육의 피로를 유도하는 것이 핵심
  • **시간당 긴장(Time Under Tension)**이 많아질수록 지구력에 더 유리함

3️⃣ 운동 빈도

  • 주 3~4회 훈련이 적당
  • 반복성과 꾸준함이 가장 중요

실전 적용 예시

✅ 전신 근지구력 루틴 예시 (초급~중급)

운동반복세트휴식
스쿼트 20회 3세트 30초
푸쉬업 15~20회 3세트 30초
런지 좌우 15회 3세트 30초
플랭크 45초 유지 3세트 30초
슈퍼맨 자세 20초 유지 3세트 30초

※ 각 동작은 통제된 속도로,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며 진행해야 근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근지구력 훈련의 운동 효과

근지구력은 단순히 오래 운동하는 체력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차원적 효과를 줍니다.

  • 지속적인 운동 능력 향상: 경기 후반에도 퍼포먼스 유지 가능
  • 지방 대사 효율 증가: 유산소 대사 능력 향상 → 다이어트에도 효과
  • 심폐 지구력과 시너지 작용: 유산소 훈련과 함께할 경우 효율 극대화
  • 부상 예방: 근육의 피로 저항력이 올라가면서 과사용 손상 감소

어떤 종목에서 특히 중요할까?

근지구력이 중요한 대표적인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라톤 / 사이클 / 수영: 장시간 근육 사용
  • 축구 / 농구 / 핸드볼: 지속적 스프린트 & 움직임
  • 크로스핏 / HIIT: 반복적 고강도 동작 수행
  • 댄스 / 발레 / 무용: 지속적 동작 제어와 정적 근수축 유지

근지구력 향상, 일반인에게도 중요한 이유

  • 피로 회복 속도 증가: 직장인이나 학생이 하루 종일 활동해도 쉽게 지치지 않음
  • 운동 지속성 증가: 운동에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실천 가능
  •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 근지구력은 곧 ‘버티는 힘’, 삶을 더 활기차게 만들어줌

마무리: 근지구력은 ‘버티는 힘’이다

근지구력은 단순히 특정 종목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이 아닙니다. 우리의 일상 전반과 건강한 삶을 지속하기 위한 기초 체력입니다. 빠르게 지치지 않는 몸, 오래 움직일 수 있는 체력을 원한다면 근지구력 향상 훈련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체력 요소 중 가장 복잡하지만 핵심인 심폐지구력 향상과 VO₂max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장이 뛰는 과학, 기대해 주세요!